생활의 사사些事에서 얻어내는 아름다운 가치 --류두영柳斗永 수필가의 「새치기」를 읽고- 새치기 柳斗永 아침 일찍 잠에서 깬 채, 그대로 누워 머리맡에 놓인 라디오에 귀를 기울이고 있노라면, ‘주울 주울 줄 서세. 우리 모두 줄 서세…….’ 하는 노래가 들린다. 이 노래는 질서를 바로잡아야 할 여지가 많은 우리 일생 생활의 모든 경우에 깨우침이 되겠지마는, 내게 있어서 .. 비평과 서재/문학과 수필평론 2017.03.29
원시적 순수에 대한 그리움, 정주환 수필가의 「결 타령」 「결」 타령 鄭周煥 하얀 이빨을 드러내 놓고 밀려들고 밀려나는 東海 바다의 그 푸른 ‘물결’이 그립다. 고추 내놓고 물장구치던 내 고향 포강 ‘물결’도 그립고, 가뭄 때마다 졸졸거리며 무논을 적셔 주던 여시골의 그 ‘물결’도 그립다. 파란 불빛이 흘러내리는 法聖浦 해수욕장의 .. 비평과 서재/문학과 수필평론 2017.03.03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그리고 ‘죽음’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그리고 ‘죽음’ 이방주 ‘죽는 날까지 하늘을 우러러 한 점 부끄럼 없기를…….’ 동주에게는 하늘, 바람, 별, 시만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에게는 '죽음'도 있었다. 아니 그에게는 하늘도 별도 시도 죽음이 전제되었다. 동주의 문학에 수용된 삶은 죽음이 전제된 .. 비평과 서재/문학과 수필평론 2017.01.02
김영미 수필가의 《3시의 정원》 -정情과 그리움을 담은 따뜻한 안양安養의 세계- 김영미 수필가의 《3시의 정원》 정情과 그리움을 담은 따뜻한 안양安養의 세계 이방주 1. 들어가기 영국의 수필가이자 비평가인 월터 페이터(W. H. Pater 1839~1894)는 '수필은 문학과 철학의 사이에 있다.'고 말했다. 수필은 문학성과 철학성을 동시에 띠고 있다는 말이다. 문학이 인식과 형상.. 비평과 서재/문학과 수필평론 2016.10.29
시평 - 이종화의 詩集 <나도 그래>에서 대상과 소통을 통해 드러내는 그리움 - 이종화의 詩集 <나도 그래>에서 - 이방주 이종화 시인의 <나도 그래>는 시적화자가 대상을 바라보며 ‘나도 그래’하고 속삭이는 동안, 독자도 ‘나도 그러네’하고 반향反響을 보내고 마는 공감의 시이다. 시인이 드러내는 화소는 자아의 .. 비평과 서재/문학과 수필평론 2015.11.01
한국수필 3월호 월평 수필 함께 읽기를 통한 이달의 수필 합평 월간 한국수필에서는 기존의 월평코너를 다른 형태로 시도했습니다. 3분(중진이상 .중진, 신인)의 각각 다른 감각을 기대하며 합평위원 한분이 맡은 매수( 200자원고지 7매)를 지켜주시기 부탁드립니다. 추천된 세편의 작품 총평, 질문취지에 적합.. 비평과 서재/문학과 수필평론 2015.03.12
한국수필 2월호 월평 <2월호 월평 자료> 밥상 허 석 눈발이 벚꽃처럼 날리던 겨울밤이었다. 군불 땐 구들장은 뜨끈하지만 희미한 알전등 불빛은 어둠 앞에 가난했다. 횃대에는 무릎 나온 조무래기 바지들이 시래기마냥 걸려있고 어머니는 식구들 구멍 난 양말이나 옷들을 기우고 있었다. 솜이불 아래 동생.. 비평과 서재/문학과 수필평론 2015.02.17
한국수필 1월호 월평 <한국수필 1월호 월평자료> 고인(古人)과의 대화 이정인 달이 잔뜩 웅크리고 있다. 그날 밤 그 하늘이 그대로 머물러있는 것 같다. 차마 잊을 수 없는 그날 생각에 가슴 한 구석이 싸해진다. 정월의 싸늘한 바람에 어둠이 흔들린다. 칠흑 같은 밤에도 길을 잃지 않는 바람, 옛사람은 바.. 비평과 서재/문학과 수필평론 2015.02.17
【드라마 평론】 드라마 ≪미생未生≫에서 길 찾기 방법으로서 형제애兄弟愛 【드라마 평론】 드라마 ≪미생未生≫에서 길 찾기 방법으로서 형제애兄弟愛 이방주(수필가, 문학평론가) 요즘 젊은 세대를 미생세대未生世代라고 한다. 바둑에서 주로 쓰이는 미생未生이란 말은 두집이 나지 않아 말이나 대마가 아직 살아있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고 한다. 그러나 사.. 비평과 서재/문학과 수필평론 2015.01.05
韓國文學의 空間과 時間 意味 충북수필문학회 여름 문학세미나 자료/2013. 8.24. 韓國文學의 空間과 時間 意味 이 방 주 (충북수필문학회 회원) 차 례 1. 들어가기 (1) 수필문학의 본질 (2) 독창적으로 세계 인식하기 (3) 긴장된 질서의 언어로 形象化하기 2. 空間의 의미 (1) 한국인의 이상향理想鄕 - 산 (2) 집의 공간 의미 3. .. 비평과 서재/문학과 수필평론 2013.08.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