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자와 함께 떠나는 수필문학 기행
가림성 사랑나무 찾아가기
-부흥 백제의 운명의 갈림길-
이방주
백제 동성왕은 웅진천도 초기에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부여나성, 우두성, 사현성 등을 축조하면서 가림성 축조공사를 시작한다. 이 때 16등 관직 가운데 가장 높은 품계인 위사좌평 백가(苩加)를 보내 관리하게 하였다. 그런데 축성이 완성되고도 백가를 조정으로 부르지 않고 가림성의 성주로 두었다. 백가는 앙심을 품고 사비성 서쪽 들판에 사냥 나온 동성왕을 자객을 보내 살해하고 가림성에서 반란을 일으킨다. 결국 동성왕의 뒤를 이은 무령왕에게 잡힌 백가는 목이 베어져 백강에 고기밥이 되었다.
반란군의 사연이 있는 가림성은 부여군 임천면의 성흥산 정상부에 있는 테메식 석성이다. 사비도성의 남쪽을 방어하기 요새 중의 요새이다. 부여에서 논산을 동남쪽에 두고 서천, 군산으로 가는 길목이라고 하면 좋을까. 말하자면 임존성, 학성산성, 장곡산성이 사비성의 북서쪽으로 예산에서 홍성으로 뻗어가는 산줄기에서 서쪽을 방어하는 산성이라면 가림성은 금강의 하구에서 올라오는 적을 방어하는 산성이다.
백제부흥군 섬멸이 급한 신라 문무왕은 직접 28명이나 되는 장수를 이끌고 당장 유인궤와 웅진성에서 작전회의에 들어갔다. 그들은 백제부흥군의 본부인 주류성보다도 외곽에 있는 임천의 가림성을 먼저 치자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가림성이 수륙의 요충지이므로 이를 내버려두고 주류성을 쳤을 경우 부흥군에게 뒤를 얻어맞을 것이 우려스러웠기 때문이다. 그러나 당의 유인궤가 가림성보다 주류성을 공격할 것을 강력하게 주장했다. 손자병법에서 ‘피실격허(避實擊虛)’를 주장하여 ‘實’ 즉 가림성을 피하고 ‘虛’ 즉 주류성을 친다는 의미이다. 유인궤의 주장은 예상대로 들어맞아 주류성에서 대패한 부흥백제군은 허물어지기 시작했다. 663년 백제부흥군은 백강전투에서 신라와 당의 연합군에게 크게 패하고 임존성이 함락되었다. 가림성에 남은 백제부흥군은 임존성 함락 이후에도 671년까지 저항하여 신라를 괴롭힌 역사적 흔적이 남아있다.
가람성 답사를 위해 청주 출발 1시간 30분 만에 부여군 임천면 소재지에 도착했다. 가림성에 주차장이 있다고 하지만 장터에 차를 세우고 걷기로 했다. 대조사를 지나는 포장도로에 벚꽃이 낙화되어 나비 떼처럼 하얗게 바람타기를 한다. 길목에 고려 태조의 신하 유금필의 신도비가 있다. 가림성에서 군량미를 풀어 빈민을 구제했다는 이야기이다. 신도비에서 숨을 고른 다음 유람하듯 천천히 걸어 가림성 사랑나무가 보이는 성벽 아래에 도착했다.
성벽처럼 커다란 바위 옆으로 난 계단을 밟아 성으로 올라간다. 계단 돌 틈에 노란 양지꽃이 피고 아기별꽃이 하얗다. 성에서 죽은 한 많은 피가 노랗게 하얗게 피어난 것인가. 그들의 아픈 넋이 꽃으로 피어난 것인가. 꽃에서 툭툭 눈물이 흐르는 듯하다.
남문에 오르기도 전에 허겁지겁 서쪽 성벽으로 내려갔다. 최근에 복원공사를 하면서 성벽 아래로 공사장비가 드나든 흔적이 남아 있다. 잡초도 잡목도 없어 다니기 좋았다. 서쪽으로 산모롱이를 돌아가는 성벽이 잘 복원되어 있었다. 산의 모양이나 경사를 잘 이용하여 성의 기능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쌓았다. 서벽은 편축식으로 밖은 돌로 쌓고 안은 흙으로 메우는 방식이다. 복원한 부분도 성석은 단단한 화강암 소재로 본래 성벽의 바른층쌓기 모양을 본떴다. 본래의 성벽과 복원한 부분의 성석이 달리 보였다. 옛것은 돌을 정으로 다듬어 정교하지 않은데 새로 쌓은 부분의 돌은 칼로 자른 것처럼 정교하다. 성을 복원하기 전에 이곳 성석을 가져다 방천도 쌓고 마을의 건축에도 사용했을 것이다. 이렇게 산성이든 읍성이든 일제강점기에 거의 훼손된 것은 다 아는 사실이다.
공사장비가 드나든 곳에 기와 조각과 토기 조각이 널려 있다. 기와는 회색 점토를 구워 만들었는데 전문가라면 크기를 짐작할 수 있을 정도로 큰 것도 있고 빗살 비슷한 무늬가 남아 있었다. 기와 조각에서도 임존성의 그것처럼 명문이 있었지 않을까 생각된다. 토기 조각은 중간 테두리 부분인지 볼록하게 나온 테두리가 보였다. 붉은 점토에 흑갈색 유약을 발라 구운 토기였다.
남문지에는 수령 400년쯤 된 느티나무 한 그루가 우뚝 서 있다. 사람들은 이 느티나무를 사랑나무라고 부른다. 사랑나무는 가까이에서 보나 멀리에서 보나 나름대로 아름다움을 지닌다. 느티나무 아래 젊은 남녀가 손을 잡고 서로 사진을 찍는 커플도 있고, 자전거를 타고 온 남녀 라이딩족이 떠들고 있었다. 참으로 아름다워 보였지만 혼자인 나를 더 외롭게 했다.
평지를 지나 동문지로 가다가 사랑나무를 되돌아보고 깜짝 놀랐다. 이 느티나무가 하트 모양을 하고 있었다. 나무 전체의 모습은 역으로 하트모양이고 오른쪽 맨 아래 가지 모양이 남문과 더불어 바른 하트 모양을 이루고 있었다. 성흥산은 해발 260m의 낮은 산인데도 사랑나무 주변에 아무것도 거칠 것이 없어서 느티나무만 보인다. 멀리 강경들에는 봄볕에 반짝이는 금강 줄기만이 비단이 되어 ‘검이불누 화이불치(儉而不陋 華而不侈)’라 하는 백제의 빛깔로 흐르고 있다. 다만 느티나무 곁에 스승을 닮은 크고 작은 젊은 느티나무 세 그루가 착한 제자처럼 서 있다. 산성 보루로 올라가는 길옆에 잘 생긴 소나무 여남은이 주군을 시위(侍衛)하듯 모여 공수하고 있다. 그래서 사랑나무라 했구나.
가림성은 SBS에서 2005년에 방영했던 드라마 서동요의 촬영지였다고 한다. 드라마에서 선화공주가 서동과 평민으로서 살아갈 마음으로 움막을 친 곳이 이곳이며, 사랑나무는 선화공주와 서동이 사랑을 확인하는 장면의 배경이 되었다. 그 후 젊은이들이 여기서 고백하면 사랑이 이루어진다고 믿는다니, 똑똑한 젊은이들도 속설에 기대어 자신의 사랑을 확정지으려 하는가 보다. 참 복도 많은 나무라는 생각이 든다.
남문지로 도로 나와 2011년, 2015년에 발굴 조사한 동벽을 답사했다. 성벽이 흙무더기를 벗고 천오백년 동안 감추었던 알몸을 내 앞에 드러내고 있었다. 그 모습이 사랑나무만큼 매혹적이다. 카메라를 들이대고 줄자로 성돌의 크기나 성벽의 높이를 재면서 성벽과 사랑을 나누었다. 행여 흙 한줌이라도 떨어질까, 쐐기돌 하나라도 훼손될까 나의 애무는 애면글면 조심스러웠다. 노년에 하는 익은 사랑, 참사랑은 바로 가림성 사랑이다. 성돌과 성돌 사이에서 문화재가 나올 수도 있다. 명문이 있는 토기편이나 기와편 혹 인골이라고 나온다면 백제의 역사가 일부 바뀔 수도 있다. 정말 감개무량하다. 눈물이 날 지경이다. 발굴공사를 하기 위해 중장비가 드나든 곳이라도 내가 밟는 것이 미안하여 조심조심 밟았다. 동문까지 가서 되돌아보았다. 감회가 깊다. 이곳에서 있었을 1500년 과거를 상상해 본다. 아우성, 함성, 외마디 소리, 나팔소리, 호각소리 북치는 소리가 마구 들려나오는 듯하다.
흙속에 묻힌 성을 보는 것은 역사를 보는 것이고 당시를 살았던 사람들의 숨소리를 듣는 것이다. 성돌 사이에서 새어 나오는 그들의 날숨을 내가 다시 들이마시는 기분이었다. 사람의 삶은 시대를 초월하여도 대동소이하다. 삶의 양식과 문화의 수준은 다르지만 어느 것이 법이고 어느 것이 진리인지는 아무도 확언할 수 없다. 그러나 한 민족끼리 편을 갈라서 서로 물고 찢고 싸울 필요는 없을 것이다. 산성이라는 유적은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고 역사를 되짚어 볼 수 있는 자산이지만 한편으로 가슴 아픈 과거이다. 쓸데없이 민족의 저력을 낭비했던 흔적이다. 한반도 압록강 두만강 안 쪽, 아니면 간도라고 불리는 중국의 동북삼성까지 통일되어 싸우지 않고 살아왔다면 얼마나 자랑스러운 우리 역사가 되었을까? 그러나 지금 그나마 반쪽으로 나뉘어 대치되어 있으면서도 그 반쪽마저도 갈가리 찢겨 오늘도 물고 뜯고 찢으며 싸우고 있다. 한심하다.
성벽 높이는 불신의 정도에 비례한다. 불신이 마음의 성곽을 높이 쌓는다. 신라나 당을 믿지 못한 백제가 가림성이란 난공불락의 성곽을 쌓았듯이 세상을 불신하는 사람들이 세상과 담을 쌓고 산다. 불신의 가림성이 오늘날은 사랑을 고백하는 믿음의 성지가 된 것은 참으로 아이러니한 일이다. 가림성 사랑나무의 덕이 아닐까. 이곳에 오면 확신이 가지 않는 사랑도 서로를 받아들이게 된다니 젊은이들이 쌍쌍이 찾을만하다. 가림성 사랑나무 아래에 서면 성벽 같은 불신이 오히려 따뜻한 인간애로 승화되어 성벽을 넘어서는 견고한 마음의 성을 이루었으면 좋겠다.
답사를 마치고 동문지로 올라와서 사랑나무를 돌아보았다. 백제부흥군과 나당연합군의 처절했던 백강전투와 슬픈 부흥백제 운명을 아는지 모르는지, 이제부터는 사랑이라고 깨우치는 건지, 늘어진 가지가 멀리 금강의 물빛을 받으며 여전히 사랑을 만들고 있었다.
(한국수필 6월호 청탁원고 2018. 4. 8.)
'문학생활과 일상 > 삶과 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엄한 백두산 신비로운 천지 (0) | 2018.05.24 |
---|---|
무술년 불기 2562년 보살사 부처님오신날 봉축 법요식 (0) | 2018.05.23 |
삶과 죽음이 공존하는 바라나시 (0) | 2018.03.28 |
<가림성 사랑나무> 북 콘서트 (수필가와 독자의 만남) (0) | 2017.12.02 |
박미애의 동화집 《악어 찌빗》은 문제 해결 과정 (0) | 2017.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