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림보 창작 수필/청주와 청주 사람들

염티리 소금길을 찾아서

느림보 이방주 2011. 5. 6. 08:43

 

문덕이나 염티 마을에는 왠지 숨은 이야기가 있을 것만 같다. 문의면 염티리에서 회남 땅의 남대문리로 넘어가는 길은 승용차로도 만만찮은 고갯길이다. 고갯마루에 염티(鹽峙)라는 한자 이름이 궁금증을 더한다. 염티는 문의면 염티리에서 회남면 남대문리로 넘어가는고개이다. 그러나 두 마을만 소통되는 단순한 고개는 아니라는 것은 염티에 올라 내려다 보면  다 알 수 있다. 염티에서 바라보면 회남에서 옥천으로 가는 구룸재, 보은오 가는 밤재를 가물가물하게 볼 수 있다. 

 

백두대간 속리산에서 한남금북정맥으로 뻗어가다가 추정재에서 팔봉지맥으로 나뉘어 다시 피반령에서 남쪽과 서쪽으로 갈리어 팔봉산까지 한 줄기와 샘봉산까지 가는 한 줄기로 나뉘게 된다. 그래서 청주 인근에서 보은으로 가는 고개는 피반령과 염티가 가장 큰 고개이다. 금강의 나루에서 보은이나 경상도 상주로 가는 길은 염티가 지름길이다. 그러니 서해안에서 생산된 소금이 이 고개를 넘은 것은 너무나 당연한 일이다.

 

염티를 넘어 구불구불 돌아 내려가면 남대문리가 있다. 이 마을에는 호점산성의 남대문이 있었다는 전설이 전해 내려오고 있다. 남대문리 끄트머리에 주막이 있을 법하다. 또 염티를 넘어가는 직전의 염티리나 문덕리 즈음해서도 객주집은 있었을 법하다. 양쪽 주막집에는 넘어갈 짐군과 넘어온 짐군이 만나 고개의 사정을 서로 교환했을 것이다. 고갯길 사정 이외에도 각 지방에 있는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여기에서 통하고 여기에서 퍼졌을 것이다. 객주집의 아낙도 은근히 엉덩이를 흔들어대며 오랜 동안 찌든 남정내의 잠뱅이에 훈훈한 바람을 집어넣었을 것이다.

 

 염티 이야기가 듣고 싶었다. 내가 염티 마을을 방문한 것은 소금길도 궁금했지만 100년 해묵은 된장내 같은 그런 사람사는 이야기가 듣고 싶러서이다. 이름만 들어도 염티는 소금 고개이다. 소금이나 해산물을 받아 염티를 넘어 보은으로 갔다. 소금장수는 산이 베푸는 산삼, 산도라지 같은 약초, 대추 같은 두메 과일, 고사리 같은 산나물, 곡물이나 닥종이를 소금과 바꾸어 짊어지고 다시 염티를 넘어 이곳에 와서 소금 배에 넘겼다. 일제 때만 해도 호랑이가 나오고, 고개가 너무 길고 험해 소금장수가 문덕리쯤 와서는 넘어갈 일을 생각하면서 앉아서 울었다고 한다. 나루터 근처에 옹기 가마도 있었다고 하니, 물론 있었을 주막집과 함께 흥청대던 옛 두메 마을 정경이 그림으로 그려지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