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 정하동 마애비로자나불좌상
낭비성 답사를 하고 돌아오는 중에 정하동에 있는 마애비로자나불좌상을 보러 갔다. 법신불이며 화엄종의 주존불인 비로자나부처님을 마애불로 모시는 것은 아주 드문 예이다. 정하동에 마애불이 있다는 것은 전부터 들어 알고 있었고 그 앞으로 그냥 지나쳤다. 공터에 차를 세우고 잠깐 내려 볼 수도 있었는데 말이다. 그런데 자료검색을 하다가 최근에 정하동 마애불이 비로자나불이라는 것을 알고 깊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청주시에서는 정북동 토성과 함께 근처의 무심천을 개발하여 시민의 휴식공원으로 조성하고 있다. 그렇게 되면 정하동마애비로자나불 좌상은 숨어 있는 문화재가 아니라 시민의 바로 곁에 있는 문화유산이 될 것이다.
북이면 부연리에서 낭비성을 답사하고 돌아오는 길에 새동네 사거리로 갔다. 사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정북토성 쪽으로 가면 길에서도 산자락 끝에 마애비로자나불좌상이 보인다. 길갓집을 하나 건너니 중장비를 세워놓는 주차공간이 있었다. 귀퉁이에 차를 세우고 바로 마애불상 앞으로 갔다.
마애불은 지나다니며 보는 것보다 비교적 주변 정리를 잘 해놓았다. 다른 불상들이 수난을 당하듯이 이 불상도 온전하지는 않았다. 코와 눈이 크게 훼손되었다. 속설에 의하면 부처님의 코를 긁어다가 돌가루를 물에 타서 먹으면 아들을 낳을 수 있다고 한다. 자손을 갖고 싶은 간절한 마음을 이해할 수 있으나 정말 아들을 낳았는지 확인할 길 없다.
대개의 마매불은 산의 일부인 커다란 바위에 새겨져 있는데 비해 정하동마애비로자나불좌상은 커다란 돌에 새겨서 연좌대 위에 세워 놓은 것처럼 보였다. 산과 바위 사이가 조금 떨어져 있다. 그러면서 마치 마애불을 보호하듯 바로 뒤에 바위벽이 병풍처럼 펼쳐져 있다. 혹시 배후에 있는 바위벽에 무슨 그림이나 글씨 같은 흔적이 있나 살펴보았으나 발견하지는 못했다. 주변에 사찰이 있었는지도 안내판에서 설명하지 않았다. 혹시 바위벽을 배경으로 하고 마애불까지 비바람을 막을 수 있는 구조물이 있었을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마애불이라기보다 그냥 불상이라 해야 할 것이다.
가까이 다가서서 살펴보았다. 불상은 서남쪽을 향하고 있었다. 산에서부터 좀 떨어져 나온 것은 본래 산에 붙어 있었는데 산이 허물어진 것인지 애초부터 그렇게 떨어져 있는 돌에 부조한 것인지 짐작이 가지 않았다. 안내판 설명에 의하면 불상의 높이가 323cm라고 한다. 대좌 높이 45cm, 폭은 280cm라고 한다. 상당히 큰 편이다. 불상은 좌상인데 연꽃을 엎어 놓은 복련으로 되어 있었다. 대개 좌상은 연좌대이고 입상은 복련인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약간 다르다.
불상은 분명 지권인智拳印을 하고 있었다. 오른손이 왼손의 검지를 감싸 쥐고 있었다. 지권인은 오른손으로 왼손의 검지를 감싸 쥐고 오른손의 엄지와 검지를 붙여서 하나로 만들고 있다. 왼손은 중생을 의미하는 손이고 오른손은 부처님을 의미하는 손이다. 왼손은 사바세계를 오른손은 불법의 세계를 의미한다. 결국 중생과 부처님이 하나이고 속계와 불계가 하나라는 의미이다. 그것이 곧 진리이고 법이다. 마애불 중에 비로사나불은 매우 드물다. 아마도 정하동 근처에 화엄종의 상당히 큰 사찰이 있었으며 비로자나불을 본존불로 모셨었나 보다. 근처를 돌아보아도 사찰 터로 보이는 대지는 찾을 수 없다. 그도 그럴 것이 이곳이 청주시의 근교로 이미 개발이 시작되었으니 말이다.
부처님은 상호는 몸에 비해 매우 큰 편이었다. 게다가 몸에 비해 얼굴의 윤곽을 더 뚜렷하게 강조하였다. 눈이 크고 코도 크다. 왼쪽 눈과 코가 많이 훼손되었다. 이마에 백호 자리가 매우 깊은 것으로 보아 수정 같은 매우 큰 보석이 박혀 있었던 것 같다. 얼굴은 퉁퉁한 사각형이다. 볼까지 오동통하게 솟아올라 귀여운 열여덟 처녀 같은 느낌이다. 귀가 거의 얼굴의 길이만큼 크다. 몸은 두툼한 어깨와 무릎이 넉넉하여 균형을 이룬다. 가슴과 배에 비해 어깨가 강조되었고 어깨로부터 내려오는 옷 주름선이 음각되어 있어 선명하다. 옷을 입은 모습은 장삼을 어깨에 걸쳐 입는 통견형식이다. 어깨에 걸친 옷자락이 무릎을 덥고 있어서 편안한 느낌을 준다.
서산 마애삼존불상이 인간적인 모습이라면 정하동 마애비로자나불좌상은 실제 사람의 모습과 거리가 멀어 이상적 인간상을 그린 신격을 형상화한 것으로 보인다. 눈언저리와 입가에 엷은 미소를 애써 찾아야 한다. 미소를 억지로 표현하려고 애쓰지 않았다는 말이다. 그래도 보는 이의 마음이 편안한 것은 무슨 까닭일까?
정하동마애비로자나불좌상은 볼수록 진귀한 불교예술품이다. 주변에 정북토성의 안전을 빌었을 수도 있고 우암산 토성이나 상당산성에 있는 백성의 안녕을 발원하는 부처님이었을 수도 있다. 앞으로 주변에 큰 길이 생기고 시민들의 휴식공간이 조성되면 더욱 소중하게 보호할 정책적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 명칭 : 청주정하동마애비로자나불좌상(淸州井下里磨崖毘盧舍那佛坐像)
▣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정하동 산9-1
▣ 문화재 지정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13호(1982.12.17. )
▣ 분류 : 불상
▣ 시대 : 고려 초기
▣ 답사일 : 2017년 6월 25일
'여행과 답사 > 느림보의 山城 山寺 찾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71. 청주 문화의 원형질 와우산토성 (0) | 2017.06.28 |
---|---|
70. 낭비성娘臂城 낭자곡성娘子谷城은 어디일까 (0) | 2017.06.28 |
68. 팔결들에 남아 있는 정북토성 (0) | 2017.06.21 |
67. 구룡산 현암사懸巖寺의 수행 (0) | 2017.06.21 |
66. 구룡산성은 탑이 되었네 (0) | 2017.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