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림보 이방주의 수필 마루

  • 홈
  • 태그
  • 방명록

2025/06/29 1

園白 李殷杓 선생과 종묘, 사직대제

園白 李殷杓 선생과 종묘 사직대제 종묘사직이 바람 앞에 등불 같다는 말이 있다. 남의 나라를 점령하면 먼저 종묘(宗廟)와 사직(社稷)을 폐한다. 사직은 토지와 오곡의 신을 말한다. 종묘는 나라를 지탱해온 역대 제왕의 신주를 모신 가장 높은 사당이니 조상신이라고 할 수 있다. 국가의 과거를 불태우고 미래를 땅에 묻어버리는 것이다. 종묘와 사직을 복원하는 것은 나라의 수치 딛고 미래를 복원하는 것이다. 우리는 1910년 일제에게 국권을 찬탈 당했다. 일제는 사직단을 땅에 묻어버리고 공원으로 만들었다. 뿐만 아니라 전국 작은 고을에 있던 사직도 허물고 땅에 묻었다. 사직을 땅에 묻어버린 일제는 종묘를 불태우려 했다. 그러나 백성들의 필사적인 저항으로 종묘를 차마 불태우지 못했다. 하지만 어려움 속에서도 시행..

느림보 창작 수필/청주와 청주 사람들 2025.06.29
이전
1
다음
더보기
프로필사진

느림보 이방주의 수필 마루

  • 분류 전체보기 (1297) N
    • 이방주 연보 (0)
    • 느림보 창작 수필 (371) N
      • 축 읽는 아이(나) (40)
      • 사랑의 방(가족) (22)
      • 껍질벗기(깨달음) (41)
      • 서리와 햇살(교단) (34)
      • 물밥(삶과 죽음) (24)
      • 버마재비 문답(自責) (13)
      • 원초적 행복(맛) (54)
      • 불의 예술(멋) (13)
      • META (9)
      • 들꽃 들풀에 길을 묻다 (58)
      • 소나무 (13)
      • 아포리즘 수필 (9)
      • 포토에세이 (13)
      • 청주와 청주 사람들 (28) N
    • 비평과 서재 (184)
      • 문학과 수필평론 (100)
      • 서평 (9)
      • 완보 칼럼 (75)
    • 느림보수필창작 교실 (31)
      • 강의 자료 (4)
      • 등단 추천작품 (27)
      • 회원 수상작품 (0)
    • 여행과 답사 (336)
      • 한국의 사찰 (39)
      • 忠淸의 山城 (45)
      • 느림보의 山城 山寺 찾기 (76)
      • 우리문화 답사기 (13)
      • 등산과 여행 (88)
      • 해외 여행 (75)
    • 문학생활과 일상 (366)
      • 삶과 문학 (97)
      • 할아버지가 쓰는 규연이의 성장 일기 (91)
      • 수름재 일기 (2)
      • 꽃밭 일기 (51)
      • 것대산이나(病床일기) (20)
      • 에세이의 뜨락 (105)

Tag

이방주 수필가, 목성균, 김은숙 시인, 수필, 가림성 사랑나무, 이미영 선생, 세심정, 며느리, 연풍, 마대산,

최근글과 인기글

  • 최근글
  • 인기글

최근댓글

공지사항

페이스북 트위터 플러그인

  • Facebook
  • Twitter

Archives

Calendar

«   2025/06   »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방문자수Total

  • Today :
  • Yesterday :

Copyright © Kakao Corp.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