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림보 이방주 2024. 6. 1. 21:07

버립니다

 

『孤獨의 反芻』

이 책은 수필가 윤오영이 1974년에 낸 첫 수필집이다. 오지 학교에 근무하던 나는 100리나 되는 군청소재지의 서점까지 나가서 이 책을 구입했다. 그리고는 호롱불 아래서 이 책을 읽고 윤오영 수필에 취했다. 이듬해에 그 서점에 갔더니 『수필문학입문』이란 윤오영의 저서가 나와서 바로 구입했다. 수필 창작에 대한 전문서적이 별로 없었던 당시에 두 권의 책이 내게는 문학의 길을 밝히는 등불이 되었다.

어느 문학단체에서 ‘고전에게 길을 묻다’라는 수필문학 활성화의 심포지엄을 기획했다. 나는 이 기획에 발제자로 선정되었다. 평소에 우리만의 수필을 주장했던 나는 윤오영의 『고독의 반추』를 통해 우리 전통수필의 맥을 찾아 공론화할 기회로 가늠하고 있었다. 그런데 서재를 샅샅이 뒤져도 『고독의 반추』도 『수필문학입문』도 보이지 않았다. 그제야 ‘아차’했다. 10년 전 집을 줄여 이사하면서 좁아진 서재를 생각해서 책을 마구 버렸던 일이 생각났다. 그때 세로쓰기한 소설, 국어국문학 전문서적도 버렸다. 『국어국문학』 『문장』 『사상계』 영인본은 그렇다 치고, 생각 없이 『고독의 반추』나 『수필문학입문』이 딸려 나간 것은 가슴을 칠 노릇이다.

비우는 것이 채우는 길이라고 하지만 채우기 위해 버리는 것과 생각도 없이 버리는 것은 다르다. 내 앞에 있는 어떤 존재자는 찾아보면 많은 의미를 담고 있다. 의미를 발견했을 때 ‘하나의 몸짓’이었을 뿐인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게 마련이다. 의미 없는 몸짓이든 꽃이든 그는 과거를 담고 내게 용기를 내어 온 것이고 그것이 현재이고 미래의 가능성을 담고 있는 것이다. 10년 전에 버린 윤오영 선생의 수필집 『고독의 반추』는 오늘의 가능성을 담고 50년 전에 내게 왔던 것이다.

오늘 아침 신문기사를 보니 어느 국회의원 당선자가 대통령이 보낸 축하 난분에 ‘버립니다’라는 딱지를 붙여 사진을 찍어 자신의 사회적관계망서비스(SNS)계정에 올렸다고 한다. 그 화분은 자연인 아무개가 보낸 것이 아니라 대통령이 보낸 것이라고 생각하면 그는 자신을 뽑아준 국민을 버린 것이나 다름없다. 축하 난 화분에는 난석 알알에 꽃의 과거와 암향부동의 미래를 담고 있다. 따라서 당선인 자신의 과거와 현재가 담겨 있고 정치인으로서 암향부동할 미래가 담겨 있는 것이다. 그 분이 정말로 버렸든 버리지 않았든 ‘버립니다’를 공개하는 것에 힘을 준 것으로 봐서 스스로 총명함과 자신만의 정의로움을 자랑한 것으로 보인다.

장자가 지향했던 진인(眞人)은 마음을 정제하고 좌망(坐忘)에 이르는 것이라 했다. 이때 ‘팔다리도 몸뚱이도 다 털어버리고, 총명함으로부터 벗어나서 외부의 형체로부터, 지혜로부터 벗어나야 한다’고 했다. 10여 년 전 세로쓰기를 버리는 것이 지혜롭다고 생각했던 일이 후회스럽고 부끄럽다. 또 ‘버립니다’하고 세상에 자랑하며 버린 총명이 우리의 대표라는 것도 부끄럽다.

50년 전 1000원에 샀던 『孤獨의 反芻』가 중고서점에서 40~50만원에도 구할 수가 없다. 버려야 할 것은 ‘내가 가장 총명하고 지혜롭다’는 오만, 바로 그것이었다. (동양일보 청탁)